본문 바로가기
국어 공부/문법론

시제(3)

by 비밀의 국어선생님 2022. 10. 8.
728x90
반응형

저번 글에서는 시제의 기본 개념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늘은 한발 더 나아가서, 절대시제상대시제에 대해 알아보자.

가장 중요하면서도 조금 어렵다고 느껴질 수 있는 개념이다.

중요한 것들 위주로 알아보자.

 

늘 그렇듯 개념 먼저 살펴보자.

절대시제 : 발화시를 곧 기준으로 삼는 시제

상대시제 : 발화시가 아닌 특정한 다른 시점을 기준으로 삼는 시제

를 말한다.

 

이게 무슨 말일까?

그냥 편하게 선어말 어미가 뭐가 쓰였는지 보면 되는거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그렇다면 아래 문장을 보자.

 

(1) 나는 날아가는 새를 보았다.

 

자, 이 문장에 나타난 시제는 무엇인가?

현재시제 관형사형 어미 '-는'이 사용되었으니까 현재 시제?

과거시제 선어말어미 '-았-'이 사용되었으니까 과거 시제?

 

이처럼 절대 시제를 기준으로 하는 문법 표지들만으로는

접속문, 내포문 같이 두 개 이상의 절이 중첩되는 문장의 시제 파악에 어려움이 따른다.

그래서 상대시제라는 개념이 필요하다.

 

상대 시제는 기준이 되는 시점에 따라서 시제를 파악한다.

(1) 에서 발화시(화자가 말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면 

날아가는 새를 화자가 본 것과거의 사건,

새를 보는 시간에 새가 날아가고 있는 것현재의 사건이 된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상대 시제는 두 문장이 이어진 접속문, 한 문장이 다른 문장 속에 있는 내포문에서

시제를 파악할 때 사용되는 개념이다. 

 

어떤 문장이 주어졌을 때, 과거/현재/미래를 표현하는 어미가 여러 개가 나온다면,

당황하지 말고 상대시제!를 떠올리자.

발화시와 첫번째 사건의 발생 시간을 비교하고,

첫번째 사건에 대한 두번째 사건의 발생 시간을 파악해보자.

 

혹시 몰라 문장 하나를 더 예시로 보이며 오늘 글을 마치도록하겠다.

 

(2) 내가 먹었던 음식이 지금 또 생각난다.

 

'음식이 생각나는 사건'은 말하는 시점과 시간이 같은 현재 시제,

'음식을 먹는 사건'은 '생각하는 사건'을 기준으로 할 때 시간 상 앞서있는 과거 시제가 된다.

 

 

 

 

 

728x90
반응형

'국어 공부 > 문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1)  (1) 2022.10.22
시제(마무리)  (0) 2022.10.14
시제(2)  (1) 2022.10.08
시제(1)  (2) 2022.09.30
부정문  (3) 2022.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