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국어 공부/음운론23

음운: 개념, 종류, 그리고 국어 공부 필수 이해 포인트 음운: 개념, 종류, 그리고 국어 공부 필수 이해 포인트안녕하세요! 오늘은 국어 공부의 기본 개념 중 하나인 '음운'에 대해 간단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음운은 언어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단어의 뜻을 구분하는 가장 작은 소리 단위입니다. 이 글을 통해 음운의 정의와 종류, 그리고 주요 특징까지 깔끔하게 이해해 보세요!음운이란?음운은 단어의 뜻을 구분해 주는 최소 소리 단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달"과 "발"처럼 하나의 소리가 바뀌면서 단어의 뜻이 달라지는 경우, 이 소리는 음운으로 작용합니다.음운의 종류음운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음소와 운소.음소정의: 분절이 가능한 음운, 즉 분절음운이라고도 합니다.특징: 자음과 모음이 음소에 해당하며, 단어의 소리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2024. 12. 26.
형태소의 교체(3)_규칙적 교체와 불규칙적 교체 앞서 알아본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가 무조건 일어나야만 하는가 아닌가를 구분의 기준으로 삼았다면, 오늘 배울 규칙 교체와 불규칙 교체는 예외없이 발생 조건이 규칙적인가를 구분의 기준으로 삼는다. 먼저, 규칙적 교체. 이름처럼 어떠한 예외 없이 조건에 맞는다면 반드시 교체가 일어나는 경우를 말한다. 이렇게 말하면 어려워보이지만, 앞에서 배운 음운 현상(비음동화, 경음화 뭐 이런거)는 모두 규칙 교체로 이해하면 된다. 음운 현상이라는 이름으로 음운론이라는 학문 분야에 자리를 잡았다는 것은, 그만큼 체계적이라는 얘기다. 예를 들어 비음화를 보자. 조건은 앞 음절의 받침이 평파열음이고, 뒷 음절의 초성이 비음이면, 앞의 평파열음 ㄱ, ㄷ, ㅂ은 각각 조음위치가 같은 비음 ㅇ, ㄴ, ㅁ으로 교체된다. 여기서.. 2023. 1. 28.
형태소의 교체(2)_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 형태소의 교체는 몇가지 기준에 따라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오늘은 첫번째,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다. (수능 국어보다는 공무원 국어 정도 레벨에서 자주 출제되는 개념이다.)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는 발생하는 동기 여부에 따라 나눠지는 개념이다. 이를 좀더 쉽게 얘기하면, 국어 음운 현상에 때문에 '무조건' 일어나야 하는 교체가 자동적 교체, 꼭 일어날 필요는 없는데 '어쩌다' 일어나는 교체가 비자동적 교체이다. 아래 예시를 보자. 국물 : 국물 + 이[궁무리] '국물' 뒤에 '이'가 올때 '궁무리'로 발음되는 이유를 앞서 배운 음운 규칙으로 설명해보자. 먼저, '국물'을 발음할 때 국의 'ㄱ'이 'ㅇ'이 되는 이유는 뭔가? 뒤에 나오는 비음 'ㅁ'의 영향을 받아 'ㄱ'이 조음 위치가 같은 비.. 2023. 1. 16.
음운의 교체(2)_부록_'ㄹ' 비음화 앞서 '비음화' 현상에 대해서는 이미 다루었지만, 평파열음화의 비음화에만 한정 지었다. 하지만 평파열음이 아닌 'ㄹ'도 비음화를 겪는데, 고유어에서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부록으로 짧게 정리하려고 한다. 'ㄹ'의 비음화는 'ㄹ'을 제외한 종성 'ㄱ, ㄴ, ㄷ,ㅁ, ㅂ, ㅇ' 뒤에 오는 'ㄹ'이 비음 ㄴ이 되는 현상이다. 독립 > [독닙] > [동닙] 핫라인 > [핟나인] > [한나인] 뭐 이런 예시를 말한다. 근데 이녀석은 조건이 있지만 이래저래 쟁점이 많고, 평파열음화의 비음화만큼 명확하지도 않아서 그냥 '이런게 있다' 정도로만 머리에 넣어두자. 2022. 12. 26.
'ㄴ' 첨가 현상과 사잇소리 'ㄴ'에 대한 간단 정리 국어 음운현상을 공부하다보면 '음운의 첨가' 부분에서 'ㄴ' 첨가를 공부하게 되고, 이는 '음운의 교체(대치)' 부분에서 확인한 '사잇소리' 현상을 떠오르게 하며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음운 첨가의 'ㄴ' 첨가 현상과 사잇소리의 'ㄴ' 첨가는 다른 현상이다. 이를 간단히 정리해보자. 1. 사잇소리 : 명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합성 명사를 만들 때 발생하는 경음화 현상. 2. 사잇소리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진다. 1) 경음화 2) 'ㄴ' 첨가 ( ㄴㄴ 첨가 포함) 1)의 예시는 봄비 >> [봄삐], 2)의 예시는 코+날 >> [콘날], 배갯잇 >> [배갠닛] 3. 'ㄴ' 첨가(음운의 첨가) :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ㅣ' 계열의 모음(l, y)이 올 경우 ㄴ이 추가되는 현상 ex) 솜.. 2022. 7.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