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품사2

품사의 개념과 분류 한눈에 정리! 국어 문법 핵심 개념 품사의 개념과 분류 한눈에 정리! 국어 문법 핵심 개념안녕하세요! 😊오늘은 국어 문법의 기초 중 기초인 품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명사, 동사, 형용사’ 등 많이 들어봤지만, 막상 정확하게 구분하려면 헷갈리는 경우 많으셨죠?이 글에서는 품사의 개념, 분류 기준, 그리고 품사 분류표까지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품사란?**품사(品詞)**란,단어를 문법적 특징에 따라 분류한 것을 말합니다.같은 단어라도 문장에서의 기능이나 형태에 따라 품사가 달라질 수 있어요.📝 예시빨간 사과 → ‘빨간’은 형용사빨강이 좋다 → ‘빨강’은 명사 역할✅ 품사의 분류 기준품사는 보통 형태, 기능, 의미 세 가지 기준으로 나누어요.🔸 1. 형태 기준✔ 가변어: 형태가 바뀔 수 있는 단어 (ex. 동사, 형용사.. 2025. 3. 27.
수사와 수관형사 오늘 수사와 수관형사에 대한 질문이 있어 이에 대해 간단한 글을 써보려고 한다. 둘은 품사가 완전히 달라 문법적인 특색이 뚜렷함에도 불구하고, 눈에 보이는 형태가 너무 비슷해서 많이 헷갈려 하는 것 같다. 중요한 구분 법을 좀 소개해 보려고 한다. 자, 먼저 '하나, 둘, 셋, 넷'은 확실하게 '수사'다 수사는 체언이므로, 체언의 가장 큰 특징인 조사와의 결합을 확인하기 위해 뒤에 주격 조사를 붙여보자. '하나가, 둘이, 셋이 넷이' 먹다가 00이 죽어도 모른다.' 조사와 결합이 너무 자연스럽다. '한, 두, 세, 네' 그럼 얘네는 어떨까? 이녀석들은 '관형사'다. 관형사의 문법적 특징은 '체언을 수식한다'이지만, 우리는 지금 그 개념을 모르는게 아니라 수사와의 '구분'을 원한다. 그래서 이녀석들도 역시.. 2023. 1. 17.
728x90
반응형